안녕하세요, 가벼운 삶을 꿈꾸는 스피릿 수입니다.
오늘 말씀드리고 싶은 제로웨이스트 생활은 빨대입니다.
여러분은 빨대를 사용하시나요?
저는 20살, 아이스아메리카노의 맛에 눈을 뜬 이래 10년간 빨대를 사용해왔습니다.
올해 제로웨이스트 생활을 시작하면서,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빨대 사용을 잠시 멈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러다 재사용빨대라는 제품을 만나게 되어 다시 빨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플라스틱 빨대 사용이 마음에 걸렸던 분들을 위한 포스팅입니다.
스타벅스 종이 빨대, 모두 알고계시겠죠? 빨대 얘긴데 왜 스벅얘기하냐고 의아하실지 모르지만, 재사용빨대와 스타벅스의 관계는 뗄레야 뗄수가 없습니다. 스타벅스는 2019년도 11월 한국에서 최초로 종이 빨대 사용을 전면 시행했습니다. 스타벅스 일회용 빨대 사용량이 월 평균 1500만개에서 750만개로 50% 가까이 줄었습니다. 선진 기업이 혁신과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자 효과는 바로 나타났습니다. 플라스틱 프리 캠페인 효과가 전국에 퍼진것이죠.
많은 카페와 상점에서 다회용빨대, 친환경빨대 사용 붐이 일어났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제 시중에서 친환경빨대를 쉽게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실리콘, 종이, 옥수수 전분, 대나무, 스텐레스, 유리 소재로 등.. 환경에 최소한의 피해를 주는 빨대를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좋은 제품이 많은데..
한참을 고민하고, 또 고민 하다가 실리콘 빨대를 구입했습니다. 일단 두개를 구입해 봤습니다. 직장에서 쓸 거 하나, 집에서 쓸거 하나. 그리고 한 주 동안 실리콘 빨대 사용해봤습니다.
그래서 써보니 어때?
좋아요.실리콘이라 말랑하고 조금 깨물깨물해도 안전하고요, 환경 호르몬 안나오는 제품으로 사서 안심도 되고요. 하지만 매우 귀찮습니다. 계속 세척해줘야 하니까요. 그래도 의미가 있어요. 플라스틱 배출을 엄청나게 줄일테니까요. 10년 동안 잘 쓰면 3650개나 줄이는 거죠. 실리콘 빨대는 일상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빨대를 대체할만했습니다.
(다른 친환경빨대와 비교해 뭐가 더 좋은 지는 다른 기업 제품도 써보고 말씀드릴게요.)
제가 구매한건 이렇게 보관용기와 빨대세척솔이 한 세트로 나온 제품입니다. 그냥 실리콘 빨대와 솔만 따로 구매하셔도 됩니다. ( 제품 홍보는 아니니까 꼭 다른 것도 찾아보세요! )
텀블러에 꽂고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3년째 사용하는 스타벅스텀블러랑 같이 쓰고 있고 사용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이렇게 써보고 나니, 실리콘빨대 장점과 단점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먼저, 장점은
1. 반영구적입니다.
한번 사면 10년은 쓸 수 있습니다. 매일 플라스틱 빨대 1개를 쓰시는 분이라면 3650개의 플라스틱 빨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2. 내구도가 강합니다
-40ºC~250ºC로, 온도 변화에 강합니다. 씻어 쓸 수 있고, 끓여서 소독할 수 도있습니다.
3. 안전합니다.
빨대를 깨무는 습관이 있는 분들이나, 아이들이 쓰기에도 안전하죠. 얼마전에 스텐리스 빨대에 입을 다친 아이가 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스텐레스 빨대를 사지 않은 이유입니다. 실리콘 구입할 땐 FDA 인증도 잘 보셔야 합니다.
4. 따듯한 음료, 찬 음료 모두 좋습니다.
실리콘은 입술에 차가움과 뜨거움이 덜 느껴져요. 여름에 차가운 음료을 잘 드시는 분이면요. 실리콘의 낮은 열전도율 덕분입니다.
5. 휴대성
실리콘이라 작은 파우치에 구겨 넣고 다녀도 괜찮아요. 필요할 때 대충 헹궈씁니다.
물론 단점도 있습니다.
1. 재활용이 안됩니다
실리콘이라는 소재가 재활용이 안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따로 분리수거를 하지 않아, 현실적으로는 일반쓰레기로 종량제 봉투에 버려집니다. 그래서 더욱 소중하게 오래써야 합니다.
2. 세척 방식
대부분의 다회용 빨대의 단점입니다. 기다랗고 좁은 빨대를 씻는건 조금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용 솔을 이용해 매일 닦아줘야 합니다.
**단, 실리콘 빨대는 개방형도 있습니다. 이 형태를 선택하면 세척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열고 닫기 쉽게 빨대 굵기가 굵은 편입니다 **
플라스틱 빨대는 화석 연료로 만들어지고 거의 재활용도 되지 않습니다. 너무 작은데다, 만들어지는 데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종류가 6개나 되기 때문이죠. 미국 매체 CNN은 “매년 800만톤의 플라스틱 빨대가 해양에 버려진다”며 “2050년에는 바다에 물고기보다 더 많은 플라스틱이 존재하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플라스틱 빨대는 해양오염 원인의 8위일 정도로 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제품입니다.
그럼에도 실상 우리가 쓰지 않아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니다. 또, 비닐봉투에와 마찬가지로 다른 제품으로 쉽게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플라스틱 빨대를 내 삶에서 퇴출해보는건 어떨까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참고 문헌>
[출처 : YTN] [해보니 시리즈79] 플라스틱 빨대 안 쓰기 도전, 간편한 대안 빨대를 찾아서
[출처: 중앙일보] 해양 오염 주범 플라스틱 빨대…“매년 800만톤 쓰레기로”
[출처: 한겨례] 지금 세계가 플라스틱 빨대를 퇴출하자고 하는 이유